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안드로메다 은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안드로메다 은하는 육안으로 관측 가능한 나선 은하로, 964년 페르시아 천문학자에 의해 "작은 구름"으로 묘사되었다. 1612년 망원경으로 관측되었고, 18세기에는 메시에 목록에 M31로 등재되었다. 1887년 사진 촬영을 통해 나선 구조가 확인되었으며, 1920년대 에드윈 허블에 의해 우리 은하 밖에 있는 독립적인 은하임이 밝혀졌다. 안드로메다 은하는 우리 은하보다 약간 더 크고, 약 40억 년 후 우리 은하와 충돌하여 합쳐질 것으로 예측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안드로메다 은하 - NGC 206
    NGC 206은 안드로메다 은하에서 가장 크고 밝은 별 구름 중 하나이며, 국부 은하군 내에서도 중요한 별 생성 영역으로, 300개 이상의 별을 포함하고, OB 연관성으로 분류되며, 성간 먼지 띠로 구분되는 두 연령대의 영역으로 나뉜다.
  • 안드로메다 은하 - 안드로메다 은하와 우리 은하의 충돌
    안드로메다 은하와 우리 은하의 충돌은 약 40억 년 이내에 일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사건으로, 은하 내 별들의 직접적인 충돌 가능성은 낮지만 은하 구조와 항성 활동에 큰 영향을 주어 두 은하가 합쳐진 새로운 은하인 "밀코메다"가 형성될 것이다.
  • 안드로메다 준은하군 - 메시에 32
    메시에 32는 안드로메다 은하의 동반 은하인 콤팩트한 타원 은하로, 안드로메다 은하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초대질량 블랙홀을 가지고 있다.
  • 안드로메다 준은하군 - NGC 185
    NGC 185는 안드로메다자리에 위치하며 거리가 약 202만에서 208만 광년으로 추정되는 왜소 타원 은하이다.
  • 국부은하군 - 마젤란 은하
    마젤란 은하는 남반구에서 관측 가능한 대마젤란은하와 소마젤란은하로 이루어진 불규칙 은하로, 우리 은하와 상호작용하며 구조를 왜곡하고 있고, 명칭 변경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 국부은하군 - 대마젤란 은하
    대마젤란 은하는 우리 은하의 위성 은하로, 불규칙 은하 또는 마젤란형 왜소나선은하로 분류되며, 뚜렷한 중심 막대와 나선팔 구조, 활발한 별 생성 영역인 타란툴라 성운을 포함하고, 약 16만 광년 떨어져 별의 탄생과 진화 연구에 중요한 천체이자 초신성 SN 1987A가 관측된 은하이다.
안드로메다 은하
기본 정보
안드로메다 은하와 두 개의 위성 은하의 가시광선 이미지. 메시에 32는 은하핵 왼쪽에 있고 메시에 110은 오른쪽 하단에 있음.
안드로메다 은하와 두 개의 위성 은하의 가시광선 이미지. 메시에 32는 은하핵 왼쪽에 있고 메시에 110은 오른쪽 하단에 있음.
형태SA(s)b
질량1.5 ± 0.2 × 1012 M☉
크기 (지름, D25 등광도)약 46.56 kpc (약 253,000 광년)
별의 수~1조 (1012)
거리약 765 kpc (약 250만 광년)
적색 편이z = −0.001004 (마이너스 부호는 청색 편이를 나타냄)
시선 속도−301 ± 1 km/s
겉보기 등급3.44
크기 (겉보기)3.167° × 1°
별자리안드로메다자리
절대 등급−21.5
기타 명칭M31
NGC 224
UGC 454
PGC 2557
2C 56 (핵)
CGCG 535-17
MCG +07-02-016
IRAS 00400+4059
2MASX J00424433+4116074
GC 116
h 50
Bode 3
Flamsteed 58
Hevelius 32
Ha 3.3
IRC +40013

2. 관측 역사



964년 페르시아천문학자 압드 알라흐만 알수피는 저서 ''항성에 관한 책''에서 안드로메다 은하를 "작은 구름"으로 묘사했고,[85][86] 당시 성도에도 작은 구름으로 표시되어 있었다.[86]

아이작 로버츠 (1888년 12월 29일) 촬영, 대 안드로메다 "성운"의 초기 사진 중 하나(오른쪽 위에는 M110이 있음)


아이작 로버트가 1899년에 촬영한 안드로메다자리 대성운.


1612년 독일의 천문학자 시몬 마리우스는 망원경을 이용해 최초로 관측하고 "등불을 통해 빛나는 촛불의 빛"과 같다고 묘사했다.[87] 1764년 샤를 메시에는 M31로 자신의 목록에 수록하면서, 육안으로 관측 가능함에도 마리우스를 발견자로 잘못 기록했다. 1785년 윌리엄 허셜은 M31 중심부가 붉은 빛깔을 띤다고 기록했고, M31이 모든 "대성운" 중 가장 가까울 것이라고 추정했다.[88]

1850년 윌리엄 파슨스와 로제 3세 백작은 안드로메다 은하의 나선 구조를 처음으로 그렸다. 1864년 윌리엄 허긴스는 M31의 스펙트럼을 관측하여 기체 성운과 다르다는 것을 확인했다.[89] M31의 스펙트럼은 흡수선들이 겹쳐진 연속 스펙트럼을 보여주어, 항성의 성질을 지니고 있음을 추론할 수 있었다. 1885년에는 M31에서 안드로메다자리 S로 알려진 초신성이 관측되었는데, 이는 안드로메다 은하에서 관측된 최초이자 유일한 초신성이다.[90]



1887년 영국의 아이작 로버트는 M31의 첫 사진을 촬영하여 나선 구조를 확인했다. 그러나 당시 M31은 우리 은하 내의 성운으로 여겨졌고, 로버트는 M31과 같은 나선성운들이 새로 형성되는 태양계일 것이라고 잘못 생각했다. 1912년 로웰 천문대베스토 슬라이퍼는 M31의 시선속도를 측정했는데, 태양 방향으로 초당 300 킬로미터로 당시 기록된 것 중 가장 큰 값이었다.[91]

에드윈 허블1923년에 M31 안의 세페이드 변광성을 이용하여 거리를 90만 광년으로 추산했고, 1929년에 발표하여 M31이 우리 은하 밖에 있는 천체임을 밝혔다. 월터 바데는 제2차 세계 대전로스앤젤레스의 등화 관제 상황에서 윌슨산 천문대 망원경을 이용하여 안드로메다 은하 중심부의 별들을 분해하는 데 성공했다.

2. 1. 섬우주 가설

1755년, 독일의 철학자 이마누엘 칸트는 저서 《천체 일반사 및 천체론》에서 우리 은하가 수많은 은하 중 하나일 뿐이라는 가설을 제시했다. 그는 우리 은하와 같은 구조는 위에서 보면 원형 성운처럼 보이고, 각도에 따라 보면 타원 은하와 같은 타원체처럼 보일 것이라고 주장했다. 칸트는 당시 설명할 수 없었던 안드로메다와 같은 타원 성운이 사실 우리 은하와 유사한 은하이며, 안드로메다가 일반적으로 믿어졌던 것처럼 성운이 아니라고 결론 내렸다.[6]

1917년, 미국의 천문학자 히버 커티스는 안드로메다 은하에서 신성을 관측했다. 사진 기록을 조사한 결과, 11개의 신성이 더 발견되었다. 커티스는 이 신성들이 하늘의 다른 곳에서 발생한 신성보다 평균 10 겉보기 등급 정도 어둡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 결과, 그는 거리 추정치를 제시할 수 있었다. 커티스는 이른바 "섬 우주" 가설, 즉 나선 성운이 실제로 독립적인 은하라는 주장을 지지하게 되었다.[92]

1920년, 할로우 섀플리와 커티스 사이에 우리은하, 나선성운의 성질, 그리고 우주의 크기에 관해 대논쟁이 벌어졌다. 커티스는 안드로메다자리 대성운이 실제로 외부의 은하라는 주장을 보강하기 위해서 우리은하의 티끌성운과 유사한 어두운 띠의 존재 및 상당한 도플러이동을 관측했다. 1922년에는 에른스트 외픽이 M31과의 거리를 추정하기 위해 그 속에 측정된 별들의 속도를 이용하였다. 그는 이 방법을 통해서 거리를 대략 45만 파섹(150만 광년)으로 추산하였는데, 이는 안드로메다자리 대성운이 우리은하 바깥 멀리 있음을 의미한다.[93]

3. 구조

가시광선 대역에서 안드로메다 은하는 드 보클레르-샌디지 확장 분류 체계에서 SA(s)b형 나선은하로 분류된다.[70] 그러나 2MASS 탐사 자료에 따르면, 안드로메다 은하의 팽대부는 상자 모양을 하고 있어, 우리 은하와 같은 막대나선은하이며 안드로메다 은하의 막대가 은하 장축을 따라 거의 직접적으로 관측됨을 시사한다.[107]

2005년 켁 망원경 관측 결과, 은하 바깥으로 뻗어 나가는 미약한 항성 구조가 실제로는 주 원반의 일부임이 밝혀졌다.[108] 이는 안드로메다 은하의 나선형 항성 원반 직경이 이전 측정값보다 세 배나 크다는 것을 의미하며, 거대한 항성 원반으로 인해 은하 직경이 22만 광년(67 kpc)에 이른다는 증거가 된다. 이전 측정값은 7만~12만 광년(21~37 kpc) 범위였다.

안드로메다 은하는 지구에 대해 약 77° 기울어져 있으며, 90° 경사각에서는 은하 가장자리만 보이게 된다. 단면 형상 연구에 따르면, 안드로메다 은하는 평탄한 원반이 아닌 S자 모양으로 굽어져 있다.[109] 이는 주변 위성은하와의 중력 상호작용 때문일 수 있으며, 삼각형자리 은하도 나선팔 굽힘에 영향을 줄 수 있지만, 더 정밀한 거리 및 시선속도 연구가 필요하다.

분광학적 연구를 통해 안드로메다 은하 중심핵으로부터 거리에 따른 회전속도를 측정한 결과, 중심핵에서 1,300광년(8,200만 AU) 지점에서 초당 225km(140mi/s)로 최대이며, 7,000광년(4억 4천만 AU) 지점에서 초당 50km로 최소이다. 이후 회전속도는 33,000광년(2.1×109 AU) 지점에서 250km/s(160mi/s)로 정점에 도달하고, 이후 점차 감소하여 80,000광년(5.1×109 AU) 지점에서 약 200km/s(120mi/s)에 이른다. 이러한 속도 측정은 중심핵에 약 6×109 ''M''이 집중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은하 총질량은 45,000광년(2.8×109 AU)까지 선형적으로 증가하다가 이후 완만하게 증가한다.[110]

발터 바데는 안드로메다 은하의 나선팔이 연속적인 H II 영역을 보여주며, "실에 꿰인 구슬"과 같다고 묘사했다. 그의 연구는 꽉 감긴 듯 보이지만 우리 은하보다 느슨하게 감긴 두 나선팔을 보여주었다.[111]

안드로메다 은하에 관한 바데의 나선팔 관측[56]§pp1062[57]§pp92
나선팔 (N=북쪽에서 은하 장축과 교차, S=남쪽에서 은하 장축과 교차)중심으로부터의 거리 () (N*/S*)중심으로부터의 거리 (kpc) (N*/S*)각주
N1/S13.4/1.70.7/0.4H II 영역의 OB 성협이 없는 티끌 나선팔.
N2/S28.0/10.01.7/2.1OB 성협이 어느 정도 존재하는 티끌 나선팔.
N3/S325/305.3/6.3N2/S2와 유사하나, H II 영역이 약간 더 많다.
N4/S450/4711/9.9수많은 OB 성협, H II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티끌이 적다.
N5/S570/6615/14N4/S4와 유사하나, 훨씬 희미하다.
N6/S691/9519/20느슨한 OB 성협들이 있다. 티끌은 보이지 않는다.
N7/S7110/11623/24N6/S6와 유사하나, 희미하여 눈에 띄지 않는다.



안드로메다 은하는 거의 가장자리만 보여 나선 구조 연구가 어렵다. 사진상으로는 시계 방향으로 중심에서 약 1,600광년(1억 AU) 거리에서 시작, 최소 13,000광년(8억 2천만 AU)까지 뻗어 있는 독립된 두 나선팔이 감긴 정상나선은하처럼 보이지만, 단일 나선팔,[58] 길다란 필라멘트형 양털나선,[59] 얇은 나선구조[70][60] 등 다른 나선 구조를 가졌다는 연구도 발표되었다.

나선 구조 왜곡은 위성은하 메시에 32, 메시에 110과의 상호작용 때문으로 추정되며, 별에 대한 중성수소 구름 변위로 확인 가능하다.[112]

1998년 유럽우주국 적외선 우주 관측선 사진은 안드로메다 은하가 고리 은하 형태로 전이 중임을 보여주었다. 기체와 티끌은 여러 겹의 고리 구조를 이루며, 특히 중심핵에서 32,000광년(2.0×109 AU) 거리에 뚜렷한 고리가 있는데, 일부 천문학자들은 이를 "불의 고리"(''ring of fire'')라 부른다.[61] 이 고리는 주로 차가운 티끌과 별형성영역으로 이루어져 가시광선에서는 보이지 않는다.[62]

스피처 우주 망원경 연구 결과, 적외선 영역에서 안드로메다 은하 나선 구조는 중심 막대에서 시작, 거대한 고리 너머로 이어지는 두 나선팔로 구성되어 보이지만, 이 나선팔은 연속적이지 않고 분할된 구조이다.[63]

스피처 망원경을 이용한 안쪽 영역 조사에서는 작은 티끌 고리 구조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2억 년 전 메시에 32와의 상호작용으로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모의실험 결과, 작은 은하가 안드로메다 은하 후극축을 따라 원반을 관통, 메시에 32는 절반 이상 질량을 상실하고 안드로메다 은하에 고리 구조가 형성되었다.[114] 무게중심에서 벗어난 안쪽 고리 구조와 길고 거대한 기체 고리의 동시 존재는 메시에 32와 거의 정면충돌한 수레바퀴 근접(''Cartwhell encounter'')의 중간형임을 시사한다.[64]

안드로메다 은하의 거대한 헤일로는 우리 은하 헤일로와 유사하며, 별들은 "금속부족성"이고, 먼 거리에서 더 멀어진다.[104] 이는 두 은하가 유사한 진화 경로를 따랐음을 의미하며, 지난 120억 년간 100~200개 저질량 은하를 강착하여 소화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15] 안드로메다 은하와 우리 은하 헤일로 별 분포는 두 은하 거리의 약 3분의 1까지 뻗어있다.

3. 1. 은하핵

HST이 촬영한 이중 구조를 보여주는 안드로메다 은하의 핵. ''NASA/ESA 사진''


안드로메다 은하의 중심부에는 밀집 성단이 위치한다. 대형 망원경으로 관찰하면 무정형의 팽대부에서 보이는 항성상이 이 밀집 성단에 의한 것이다. 은하핵의 광도는 매우 밝은 구상성단의 광도보다 훨씬 크다.

1991년, 토드 R. 라우어는 허블 우주 망원경의 WFPC 카메라를 이용하여 안드로메다 은하 내부의 은하핵을 촬영하였다. 은하핵은 1.5 파섹(4.9 광년) 이내에서 두 개의 집중 분포로 나뉜다. P1으로 명명된 밝은 집중 분포는 은하의 중심으로부터 편중되어 있다. 그보다 어두운 집중 분포 P2는 은하의 진중심과 일치하며, 초대질량 블랙홀을 포함하고 있다. 이 블랙홀은 1993년에는 3~5×107 ''M''으로,[116] 2005년에는 1.1~2.3×108 ''M''으로 측정되었다.[117] 그 주변 물질의 속도분산은 ≈ 160 km/s로 측정되었다.[118]

스코트 트레마인은 관측된 이중 은하핵에 대해 P1의 실체가 항성 원반이라면 중심 블랙홀 주변을 편심 궤도로 돌고 있을 것이라고 설명하였다.[119] 큰 궤도 이심률이 궤도 원점에서 궤도운동을 하는 별들을 오래 머물게 하여 그 지점에서 수많은 별들의 집중 분포가 형성된다. P2 또한 분광형 A형의 뜨거운 별들로 이루어진 밀집 원반을 갖고 있다. A형 별은 적색형 필터에서 눈에 띄지 않지만, 청색 및 자외선 필터에서는 이들이 은하핵에서 가장 눈에 띄기 때문에 P1보다 P2가 더 뚜렷하게 보이게 된다.[120]

발견 초기에 이중 은하핵의 밝은 부분이 안드로메다 은하에 의해 "잡아먹힌" 작은 은하의 잔재일 것이라고 가설화되었으나,[121] 현재는 더 이상 신빙성 있는 설명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그 이유는 그러한 은하핵이 중심 블랙홀에 의한 조석 파괴로 인해 극도로 짧은 수명을 갖기 때문이다. 이것은 P1이 P1 자체를 안정화 시킬 수 있는 자체의 블랙홀을 가지고 있음으로써 부분적으로 해결할 수 있지만, P1 속의 별의 분포는 그 중심에 블랙홀이 없음을 암시한다.[119]

4. 물리적 특성

안드로메다 은하(M31)는 지구로부터 약 250만 광년 거리에 있으며, M33과 함께 육안으로 볼 수 있는 가장 먼 천체이다. 약 1조 개의 항성으로 이루어진 나선 은하로, 지름은 22만 광년으로 국부 은하군에서 가장 크다. 21세기 초 관측 결과, 안드로메다 은하의 은하 헤일로 영역으로 여겨졌던 곳의 별들이 실제로는 디스크의 일부임이 밝혀져 은하의 크기가 더 크게 확장되었다.

과거에는 성운과 혼동되어 "안드로메다 성운", "안드로메다 대성운"[25] 등으로 불리기도 했다. 에드윈 허블세페이드 변광성을 이용하여 측정한 초기 거리는 90만 광년이었으나, 이후 거리 산정 방식의 오류가 밝혀져 200만 광년으로 수정되었고, 관측 정밀도가 향상되면서 추정 거리는 점차 더 길어졌다.

안드로메다 은하는 중심핵이 두 개이고, 우리 은하의 팽대부와 비교하여 가스 및 암흑 물질이 매우 적으며, 그 가스가 은하면에 직각인 나선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점이 밝혀졌다. 2MASS 서베이와 스피처 우주 망원경의 적외선 관측 결과, 막대 나선 은하이며, 팽대부의 막대 구조가 원반 장축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55도 방향을 향하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26]

964년 압드 알라흐만 아수피는 "작은 구름"으로 기술했다. 1612년 시몬 마리우스망원경으로 처음 관측하여 "램프를 비추어 빛나는 촛불의 빛"처럼 보였다고 기록했다.[25] 윌리엄 허셜은 "핵은 성운상. 별로 쪼개질 것 같다"라고 기록했다. 1864년 윌리엄 허긴스스펙트럼을 관측하여 연속 스펙트럼임을 발견했다. 1885년 에른스트 하르트비히는 신성, 세페이드 변광성, 산개 성단, 구상 성단을 발견하고, 자전 속도를 측정했다. 1887년 아이작 로버츠가 처음으로 사진을 촬영했다. 1899년 율리우스 샤이너가 처음으로 스펙트럼 사진을 촬영했다.

M31은 육안으로 볼 수 있으며, 크기는 보름달의 약 5배이다. 쌍안경으로는 긴 타원형의 뚜렷한 광망으로 보인다. 조건이 좋은 곳에서 구경 20cm의 망원경으로 겨우 소용돌이 구조가 보이기 시작한다.

4. 1. 질량

M31영어의 질량(암흑물질 포함)은 대략 으로 추정된다.[33] 이는 우리 은하의 질량 과 비슷하거나 약간 더 무거운 것이다. M31의 항성 질량은 에서 사이로 추정되는데,[40][41] 이는 우리 은하의 항성 질량보다 두 배 정도 무거운 것이다.

M31의 성간매질은 다음으로 구성되어 있다.

  • 중성수소: 최소 [43]
  • 수소 분자(가장 안쪽 10킬로파섹 이내): 최소 [43]
  • 티끌: [44]


2015년 허블 우주 망원경 관측 결과, M31 주변에 뜨거운 기체로 이루어진 거대하고 무거운 은하헤일로가 발견되었다.[39] 이 헤일로는 M31 자체 별 질량의 절반을 포함하며, 이전 측정값보다 여섯 배 크고 1,000배 무겁다. 헤일로는 M31에서 약 백만 광년까지 뻗어 있으며, 이는 우리 은하까지 거리의 절반에 해당한다. 은하 모의실험에 따르면 헤일로는 M31과 동시에 형성되었으며, 초신성으로 형성된 무거운 원소들이 풍부하다.[45][46][47][48][49]

4. 2. 광도

안드로메다 은하의 추정 광도는 로, 우리 은하보다 약 25% 더 밝다.[42][105] 그러나 지구에서 보았을 때 안드로메다 은하는 궤도 경사가 높고, 우주 먼지가 빛을 흡수하므로 실제 밝기를 정확히 측정하기 어렵다.

스피처 우주 망원경을 이용한 2010년 연구에서는 안드로메다 은하의 절대등급(청색대역)이 -20.89 등급이라고 추정했다. (색지수 +0.63을 고려하면 절대 시각 등급은 -21.52 등급[53]이며, 이는 우리 은하의 -20.9 등급과 비슷하다.) 이 연구에서는 안드로메다 은하의 총 광도를 으로 계산했다.[54]

우리 은하는 연간 3~5 태양 질량의 별을 형성하는 반면, 안드로메다 은하는 연간 약 1 태양 질량의 별을 형성한다.[106] 신성 발생률 또한 우리 은하가 안드로메다 은하의 두 배이다.[106] 이는 안드로메다 은하가 과거에 활발한 별 형성 단계를 거쳤지만, 현재는 상대적으로 정체된 상태이며, 우리 은하는 더 활발하게 별을 형성하고 있음을 의미한다.[105]

최근 연구에 따르면 안드로메다 은하는 은하 색-등급도에서 "녹색 계곡"이라 불리는 영역에 위치한다. 이 영역은 "파란 구름"(별 형성이 활발한 은하)에서 "적색 시퀀스"(별 형성이 없는 은하)로 전환되는 우리 은하와 같은 은하들이 위치하는 곳이다. 녹색 계곡 은하의 별 형성 활동은 성간 매질에서 별 형성 가스가 고갈되면서 둔화된다. 안드로메다 은하와 우리 은하의 충돌로 별 형성률이 일시적으로 증가하겠지만, 약 50억 년 후에는 별 형성이 거의 멈출 것으로 예상된다.[55]

5. 위성은하

우리은하처럼 안드로메다 은하도 위성은하를 가지고 있는데, 현재까지 14개 이상의 왜소은하가 알려져 있다. 가장 잘 알려지고 쉽게 관측되는 위성은하는 M32M110이다. 현재의 관측 자료들에 따르면 M32는 과거에 안드로메다 은하(M31)와 근접 통과를 겪은 적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M32는 이전에는 M31에 의해 항성 원반이 파괴되면서 비교적 최근까지 중심핵 영역에서 폭발적인 별의 형성이 일어났던 더 큰 은하였을 것으로 여겨진다.[129]

M110 또한 M31과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천문학자들은 M31의 헤일로에서 금속풍부성을 가진 성류를 발견하였다. 이것은 위성은하의 박리로 인해 형성된 것으로 여겨진다.[130] M110은 먼지대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는 최근에 별의 형성이 있었거나 현재 그것이 계속 진행되고 있음을 시사한다.[131] M32도 젊은 별 개체군을 가지고 있다.

삼각형자리 은하는 안드로메다에서 떨어진, 왜소은하가 아닌 은하이다. 현재 이 은하가 안드로메다의 위성 은하인지 여부는 알려져 있지 않다.[20]

2006년에는 아홉 개의 은하가 각각의 상호작용으로부터 예측된 무작위한 배열이 아니라, 안드로메다 은하의 핵을 가로지르는 면을 따라 배열되어 있음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위성은하들이 동일한 조석 기원을 갖는다는 사실을 암시한다.[132]

M32, M110을 거느리고 있는 안드로메다 은하(M31)

6. 구상성단

안드로메다 은하에는 460여 개의 구상성단이 있다.[125] 이 중 가장 무거운 것은 메이올 II(G1)로, 국부은하군에서 가장 밝다.[126] G1은 수백만 개의 별을 포함하며, 우리은하에서 가장 밝은 센타우루스자리 오메가보다 두 배 밝다. G1은 평범한 구상성단보다 훨씬 무거워, 일부에서는 먼 과거 안드로메다 은하에 흡수된 왜소은하의 핵으로 보기도 한다.[127] 표면밝기가 가장 큰 구상성단은 안드로메다 은하 남서쪽 나선팔 동쪽에 위치한 G76이다.[86]

2005년, 천문학자들은 안드로메다 은하에서 새로운 유형의 성단을 발견했다. 이 성단은 수십만 개의 별을 포함하며, 구상성단과 별의 수는 비슷하지만, 폭이 수백 광년으로 훨씬 크고 밀도는 수백 배 낮다. 따라서 별 사이 거리가 구상성단보다 훨씬 크다.[128]

7. 우리 은하와의 충돌

안드로메다 은하는 초당 약 110km의 속도로 우리 은하에 접근하고 있다.[71] 태양에 대한 접근 속도는 초당 약 300km로 측정되는데,[70] 이는 태양이 우리 은하의 중심을 약 225km/s의 속도로 공전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접근 속도로 인해 안드로메다 은하는 관측되는 은하 중 몇 안되는 청색편이 은하이다. 우리 은하에 대해 예측되는 안드로메다 은하의 접선속도는 접근 속도보다 훨씬 작기 때문에 우리 은하와 안드로메다 은하는 약 40억 년 후에 거의 정면으로 충돌할 것으로 예측된다. 충돌에 따른 결과로 두 은하는 병합하여 하나의 거대타원은하[133] 또는 거대한 원반은하[34]가 될 것이다. 이러한 사건은 은하군의 은하 중에서 흔한 편이다. 두 은하의 충돌로 인한 지구태양계의 운명은 현재 확실하지 않다. 두 은하가 병합하기 전에 태양계가 우리 은하에서 방출되거나 안드로메다 은하에 편입될 것이라는 낮은 가능성도 있다.[134]

8. 기타

=== 그 밖의 광원 ===

ESA의 XMM-뉴턴 우주 망원경 관측 결과, 안드로메다 은하에서 블랙홀 또는 중성자별 후보로 추정되는 다중 엑스선 광원이 발견되었다. 로빈 바너드 등은 이 천체들이 유입되는 기체를 수백만 켈빈으로 가열하여 엑스선을 방출한다고 주장하였다. 중성자별의 스펙트럼은 블랙홀과 유사하지만, 추정 질량을 통해 구별할 수 있다.[124]

2012년, 안드로메다 은하에서 작은 블랙홀이 전파 폭발을 일으키는 미세퀘이사가 발견되었다. 이 블랙홀은 은하 중심 근처에 위치하며, 질량은 약 10 태양질량(''M'')이다. 이 미세퀘이사는 ESA의 XMM-뉴턴 탐사선 자료를 통해 발견되었으며, NASA의 스위프트 및 찬드라, 초거대배열, 초장기선배열을 통해 추가 관측되었다. 이는 안드로메다 은하 및 우리은하 외부에서 발견된 최초의 미세퀘이사이다.[69]

=== 픽션 ===

안드로메다 은하는 우리 은하와 비교적 가까워 인지도가 높기 때문에, 많은 SF 작품에서 외계인의 고향이나 우주 여행의 목적지로 등장한다.

8. 1. 그 밖의 광원

ESA의 XMM-뉴턴 우주 망원경 관측 결과, 안드로메다 은하에서 블랙홀 또는 중성자별 후보로 추정되는 다중 엑스선 광원이 발견되었다. 로빈 바너드 등은 이 천체들이 유입되는 기체를 수백만 켈빈으로 가열하여 엑스선을 방출한다고 주장하였다. 중성자별의 스펙트럼은 블랙홀과 유사하지만, 추정 질량을 통해 구별할 수 있다.[124]

2012년, 안드로메다 은하에서 작은 블랙홀이 전파 폭발을 일으키는 미세퀘이사가 발견되었다. 이 블랙홀은 은하 중심 근처에 위치하며, 질량은 약 10 태양질량(''M'')이다. 이 미세퀘이사는 ESA의 XMM-뉴턴 탐사선 자료를 통해 발견되었으며, NASA의 스위프트 및 찬드라, 초거대배열, 초장기선배열을 통해 추가 관측되었다. 이는 안드로메다 은하 및 우리은하 외부에서 발견된 최초의 미세퀘이사이다.[69]

8. 2. 픽션

안드로메다 은하는 우리 은하와 비교적 가까워 인지도가 높기 때문에, 많은 SF 작품에서 외계인의 고향이나 우주 여행의 목적지로 등장한다.

참조

[1] 서적 Third Reference Catalogue of Bright Galaxies
[2] 간행물 Disk stars in the Milky Way detected beyond 25 kpc from its center https://www.aanda.or[...] 2018-04-01
[3] 웹사이트 Andromeda Galaxy al-Sufi http://www.ianridpat[...] 2024-11-22
[4] 웹사이트 The earliest image of another galaxy http://www.idebono.e[...] 2024-11-22
[5] 간행물 Why do Galaxies have a Spiral Form?
[6] 웹사이트 Seite:Allgemeine Naturgeschichte und Theorie des Himmels.djvu/41 – Wikisource https://de.wikisourc[...]
[7] 간행물 A 2–3 billion year old major merger paradigm for the Andromeda galaxy and its outskirts 2018-04-01
[8] 간행물 The Andromeda galaxy's most important merger about 2 billion years ago as M32's likely progenitor https://www.nature.c[...] 2018-09
[9] 간행물 A clear age-velocity dispersion correlation in Andromeda's stellar disk 2015-04-09
[10] 간행물 A Global Star-forming Episode in M31 2-4 Gyr Ago 2015-06-05
[11] 간행물 A giant stream of metal-rich stars in the halo of the galaxy M31 2001-07
[12] 간행물 Orbits of massive satellite galaxies – I. A close look at the Large Magellanic Cloud and a new orbital history for M33 2017-02-01
[13] 웹사이트 Dimensions of Galaxies https://ned.ipac.cal[...]
[14] 웹사이트 Atlas of the Andromeda Galaxy https://ned.ipac.cal[...]
[15] 간행물 X-ray and Radio Variability of M31*, The Andromeda Galaxy Nuclear Supermassive Black Hole https://ui.adsabs.ha[...] 2010-02-01
[16] 간행물 Very Large Array Multiband Monitoring Observations of M31* 2017-08-01
[17] 간행물 On the Formation of an Eccentric Nuclear Disk following the Gravitational Recoil Kick of a Supermassive Black Hole 2021-11-01
[18] 간행물 Detection of a 100,000 M ⊙ black hole in M31's Most Massive Globular Cluster: A Tidally Stripped Nucleus 2022-01
[19] 간행물 Solo dwarfs IV: Comparing and contrasting satellite and isolated dwarf galaxies in the Local Group
[20] 웹사이트 Messier 33 http://www.messier.s[...] 2024-07-22
[21] 웹사이트 Yes, That Picture of the Moon and the Andromeda Galaxy Is About Right https://slate.com/te[...] 2014-01-01
[22] 웹사이트 Andromeda and the Moon collage https://noirlab.edu/[...] 2022-07-29
[23] 웹사이트 Messier 33 (The Triangulum Galaxy) https://www.nasa.gov[...] 2021-08-06
[24] 서적 Cosmic Challenge: The Ultimate Observing List for Amateu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25] 웹사이트 NASA/IPAC 銀河系外データベース https://ned.ipac.cal[...] NASA/IPAC 2023-03-23
[26] 웹사이트 Beaton, Rachael L.; Majewski, Steven R.; Guhathakurta, Puragra; et al. (2006). "Unveiling the Boxy Bulge and Bar of the Andromeda Spiral Galaxy" https://ui.adsabs.ha[...] 2023-03-23
[27] 간행물 Properties of the Molecular Clouds in NGC 205
[28] 간행물 The Anisotropic Distribution of M31 Satellite Galaxies: A Polar Great Plane of Early-type Companions
[29] 웹사이트 Results for Messier 31 https://ned.ipac.cal[...] 2006-11-01
[30] 웹사이트 Apart from Andromeda, are any other galaxies moving towards us? - Space Facts – Astronomy, the Solar System & Outer Space - All About Space Magazine http://www.spaceansw[...] 2016-04-03
[31] 간행물 Cold molecular gas in merger remnants. I. Formation of molecular gas disks
[32] 웹사이트 When Our Galaxy Smashes Into Andromeda, What Happens to the Sun? http://www.universet[...] 2007
[33] 저널 A dynamical model of the local cosmic expansion
[34] 저널 병합 잔해 속의 차가운 분자 기체. I. 분자 기체 원반의 형성
[35] 뉴스 VLT 위의 두 육안 은하 http://www.eso.org/p[...] 2013-10-22
[36] 저널 M31에 관한 최근의 항성 고고학 – 가장 가까운 적색 은하 2012
[37] 문서 J00443799+4129236은 천구좌표계에서 적경 {{RA|00|44|37.99}}, 적위 {{DEC|+41|29|23.6}}에 위치한다.
[38] 문서 평균거리 (787 ± 18, 770 ± 40, 772 ± 44, 783 ± 25) = ((787 + 770 + 772 + 783) / 4) ± (182 + 402 + 442 + 252)0.5 / 2 = 778 ± 33.
[39] 웹인용 안드로메다 은하 주변의 거대한 헤일로를 발견한 허블 http://www.spacetele[...] 2015-06-14
[40] 저널 항성 바다의 티끌 파도: 중적외선에서 본 M31 2006
[41] 저널 정오표: ''항성 바다의 티끌 파도: 중적외선에서 본 M31'' 2007
[42] 저널 M 31 속의 항성 질량 지도 및 암흑물질 분포 2012
[43] 저널 메시 31에 관한 광역 고해상도 H I 모자이크. I. 불투명한 원자 기체 및 별형성률 밀도 2009
[44] 저널 안드로메다 은하의 티끌 2014
[45] 웹인용 허블사이트 - 뉴스센터 - 안드로메다 은하 주변의 거대한 헤일로를 발견한 허블 (05/07/2015) - 모든 이야기 http://hubblesite.or[...] 2015-05-07
[46] 웹인용 안드로메다 은하 주변의 무거운 헤일로를 발견한 허블 // 뉴스 // 노트르담 뉴스 // University of Notre Dame http://news.nd.edu/n[...] 2015-05-07
[47] 웹인용 안드로메다 은하 주변의 무거운 헤일로를 발견한 허블 // News // Department of Physics // University of Notre Dame http://physics.nd.ed[...] 2015-05-07
[48] 저널 안드로메다 은하 주변의 무겁고 거대한 은하 주위 매질에 관한 증거 http://arxiv.org/abs[...] 2014-04-25
[49] 웹인용 안드로메다 은하 주변의 거대한 헤일로를 발견한 NASA의 허블 http://www.nasa.gov/[...] 2015-05-07
[50] 저널 이웃 은하에 관한 목록 2003
[51] 문서 청색절대등급 −21.58 (해당 주석 참고) – 색지수 0.63 = 가시절대등급 −22.21
[52] 저널 거물들의 협회 2014
[53] 문서 청색절대등급 −20.89 – 색지수 0.63 = −21.52
[54] 저널 스피처의 원적외선 관측을 통한 M 31의 티끌 소거 표면측광 2010
[55] 저널 우리은하 및 M31의 중년 위기 2011
[56] 저널
[57] 서적 은하 및 우주론 https://archive.org/[...] McGraw Hill 1966
[58] 저널 M31의 나선 구조 – 형태적 접근 1978
[59] 저널 ISO를 통해 지도화된 M31 속의 차가운 티끌 2000
[60] 저널 안드로메다 은하 속의 별 및 티끌에 관한 광학적 연구 1988
[61] 저널 M 31 속의 어린 성단 2008
[62] 저널 M 31의 별형성 고리에 관한 중적외선 및 원자외선 관측 1999
[63] 저널 M31에 관한 스피처의 MIPS 적외선 관측: 나선-고리 복합 구조에 관한 진보적인 증거 2006
[64] 저널 안드로메다 은하의 두가지 편심 고리의 기원으로 거의 정면상의 충돌 2006
[65] 저널 늙은 '슈퍼' 성단: 국부은하군에서 가장 무거운 성단 2006
[66] 저널 그렇게 특별한 구상성단이 아닌 M31 속의 037-B327 2006
[67] 웹인용 안드로메다 은하 속의 성단 http://www.spacetele[...] 2015-09-07
[68] 저널 구상성단 및 은하 형성: M31, 우리은하, 그리고 나선은하의 구상성단계에 관한 영향 2004
[69] 뉴스 천문학자들을 놀라게 한 안드로메다 은하 속의 미세퀘이사 http://www.sci-news.[...] 2012-12-14
[70] 웹인용 메시에 31에 관한 결과 http://ned.ipac.calt[...] NASA/IPAC 2006-11-01
[71] 저널 안드로메다 은하와 우리은하의 충돌 경로 http://www.nature.co[...] 2014-10-06
[72] 저널 국부 속도계에서의 왜곡을 통한 국부은하군 및 M81 은하군의 질량 측정 2006
[73] 웹인용 1조 개의 별들을 포함하는 안드로메다 은하 http://www.newscient[...] New Scientist 2014-10-06
[74] 저널 이웃 은하에 관한 목록 2004
[75] 저널 안드로메다 은하에 있는 식쌍성에 관한 최초의 거리 및 기본 물리량 측정 2005
[76] 저널 17개의 국부은하군 은하에 관한 거리 및 금속함량 2005
[77] 저널 적외선 표면밝기요동을 이용한 보이지 않는 은하의 항성 개체 거리 측정 및 탐사 2003
[78] 웹인용 SIMBAD-M31 http://simbad.u-stra[...] SIMBAD 천문학 데이터베이스 2009-11-29
[79] 저널 근처 은하에 관한 GALEX의 자외선 성도 2007
[80] 뉴스 차가운 곳에서 드러난 암흑물질 http://news.bbc.co.u[...] BBC 뉴스 2006-05-24
[81] 웹인용 우리은하 http://messier.seds.[...] SEDS 2007-05-09
[82] 웹인용 Milky Way a Swifter Spinner, More Massive, New Measurements Show http://www.cfa.harva[...] Harvard-Smithsonian Center for Astrophysics 2014-10-06
[83] 웹인용 NASA's Hubble Shows Milky Way is Destined for Head-On Collision http://www.nasa.gov/[...] NASA 2012-07-12
[84] 웹인용 Messier Object Data, sorted by Apparent Visual Magnitude http://messier.seds.[...] SEDS 2007-08-27
[85] 서적 The guide to the galaxy http://books.google.[...] 1994
[86] 서적 The Night Sky Observer's Guide Willmann-Bell 1998
[87] 서적 Astronomy and the imagination: a new approach to man's experience of the stars Routledge Kegan & Paul 1985
[88] 저널 On the Construction of the Heavens 1785
[89] 저널 On the Spectra of Some of the Nebulae 1864
[90] 저널 nebula in Andromeda and Nova, 1885 1888
[91] 저널 The Radial Velocity of the Andromeda Nebula 1913
[92] 저널 Novae in Spiral Nebulae and the Island Universe Theory 1988
[93] 저널 An estimate of the distance of the Andromeda Nebula 1922
[94] 저널 A spiral nebula as a stellar system, Messier 31 1929
[95] 저널 The Resolution of Messier 32, NGC 205, and the Central Region of the Andromeda Nebula 1944
[96] 서적 The Birth of Time: How Astronomers Measure the Age of the Universe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2001
[97] 저널 Radio-frequency Radiation from the Great Nebula in Andromeda (M.31) 1950
[98] 저널 Radio emission from the Andromeda nebula 1951
[99] 저널 The Radio Continuum Morphology of Spiral Galaxies 1976
[100] 저널 Pixel-lensing as a way to detect extrasolar planets in M31 2009
[101] 저널 The Distance to the M31 Globular Cluster System 1998
[102] 저널 Distance to M31 With the HST and Hipparcos Red Clump Stars 1998
[103] 뉴스 Andromeda 'born in a collision' http://www.bbc.co.uk[...] BBC News 2010-11-25
[104] 저널 The Metal-Poor Halo of the Andromeda Spiral Galaxy (M31) 2006
[105] 저널 The local group of galaxies 1999
[106] 저널 The Rate of Nova Production in the Galaxy 1987
[107] 저널 Unveiling the Boxy Bulge and Bar of the Andromeda Spiral Galaxy 2006
[108] 저널 A kinematically selected, metal-poor spheroid in the outskirts of M31 2006
[108] 보도자료 Andromeda's Stellar Halo Shows Galaxy's Origin to Be Similar to That of Milky Way http://pr.caltech.ed[...] Caltech Media Relations 2006-05-24
[109] 보도자료 Astronomers Find Evidence of an Extreme Warp in the Stellar Disk of the Andromeda Galaxy http://www.ucsc.edu/[...] UC Santa Cruz 2006-05-24
[110] 저널 Rotation of the Andromeda Nebula from a Spectroscopic Survey of Emission 1970
[111] 저널 Andromeda Nebula from a Spectroscopic Survey of Emission 1964
[112] 저널 The distribution and kinematics of neutral gas, HI region in M31 1991
[113] 보도자료 ISO unveils the hidden rings of Andromeda http://sci.esa.int/s[...] European Space Agency 2006-05-24
[114] 뉴스 Busted! Astronomers Nab Culprit in Galactic Hit-and-Run http://www.cfa.harva[...] Harvard-Smithsonian Center for Astrophysics 2014-10-06
[115] 저널 Tracing Galaxy Formation with Stellar Halos I: Methods 2005
[116] 저널 Planetary camera observations of the double nucleus of M31 1993
[117] 저널 HST STIS Spectroscopy of the Triple Nucleus of M31: Two Nested Disks in Keplerian Rotation around a Supermassive Black Hole 2005
[118] 저널 A Relationship between Nuclear Black Hole Mass and Galaxy Velocity Dispersion http://iopscience.i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0-03-10
[119] 저널 An Eccentric-Disk Model for the Nucleus of M31 1995
[120] 보도자료 Hubble Space Telescope Finds a Double Nucleus in the Andromeda Galaxy http://hubblesite.or[...] Hubble News Desk 2006-05-26
[121] 뉴스 The Andromeda Galaxy has a Double Nucleus http://www.aip.org/p[...] American Institute of Physics 2009-07-10
[122] 저널 Correlation between the Densities of X-Ray Sources and Interstellar Gas 1969
[123] 서적 X- and Gamma-Ray Astronomy, Proceedings of IAU Symposium no. 55 held in Madrid, Spain, 11–13 May 1972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1973
[124] ArXiv Timing the bright X-ray population of the core of M31 with XMM-Newton 2005
[125] 저널 M31 Globular Clusters in the Hubble Space Telescope Archive. I. Cluster Detection and Completeness 2001
[126] 보도자료 Hubble Spies Globular Cluster in Neighboring Galaxy http://hubblesite.or[...] Hubble news desk STSci-1996-11 2006-05-26
[127] 저널 G1 in M31 – Giant Globular Cluster or Core of a Dwarf Elliptical Galaxy? 2001
[128] 저널 A new population of extended, luminous, star clusters in the halo of M31 2005
[129] 저널 A New Formation Model for M32: A Threshed Early-type Spiral? 2001
[130] 저널 A giant stream of metal-rich stars in the halo of the galaxy M31 2001
[131] 저널 Properties of the Molecular Clouds in NGC 205 2000
[132] 저널 The Anisotropic Distribution of M31 Satellite Galaxies: A Polar Great Plane of Early-type Companions 2006-03
[133] 저널 The collision between the Milky Way and Andromeda 2008
[134] 웹인용 When Our Galaxy Smashes Into Andromeda, What Happens to the Sun? http://www.universet[...] 2007-05-1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